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따르면 인터넷에서 명예훼손 등 권리침해를 당한 사람은 사이트 관리자에게 그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고, 사이트 관리자는 “지체없이” 삭제나 임시조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그러나 현실적으로 “지체없이”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을까. 대형 포털 사이트의 경우 권리침해신고 절차를 상세하게 마련해 놓고 있다.그래서 권리침해신고 페이지에 신고를 하면 보통 신고 당일에 임시조치가 된다. 그러나 커뮤니티 사이트를 비롯하여 개인이 운영하는 수많은 사이트 관리자들은 권리침해신고라는 제도 자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용자가 매우 많은 사이트도 예외가 아니다.이런 사이트에는 권리침해신고 메뉴가 없어서 관리자 이메일을 통해 신고를 받는데, 권리침해 게시물을 신고할 수 있다는 사실조차 공지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또는 게시판 하나를 신고 전용으로 지정하여 그곳에 신고 내용을 올리라고 하기도 한다. 이 경우 처리는 원활하게 이루어질까. 회원이 수만 명에 달하는 사이트도 사실상 개인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권리침해신고까지 신경쓰기 어렵다.그래서 메일이나 게시판을 통해 접수가 됐다 하더라도
포털 사이트에서 뉴스의 댓글창을 없애고 있다.정치 뉴스의 댓글창을 별도로 위치시키고 낱개로만 볼 수 있게 하더니, 연예 뉴스와 스포츠 뉴스의 댓글창을 없앴다. 악성 댓글(악플)이 게시된 경우 피해자는 악플을 일일이 검색하고 찾아다니며 사이트 관리자에게 삭제 요청을 해야 한다. 이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그러나 악플러는 복사해서 붙여넣기로 몇 초 만에 악플을 생성해 낼 수 있다. 동일한 악플을 연속으로 게시하며 도배할 수도 있다.여러 포털 사이트에 보도된 유사한 내용의 뉴스에 전부 악플로 도배한다 하더라도 몇 분 걸리지 않는다. 자신에 대한 악플을 하나하나 검색하고 있는 피해자의 심정은 어떨까.실제로 이를 견디다 못해 자살하는 사건이 속출하고 있다.그래서 주변의 지인이나 전문 업체에 맡기는 경우가 많다.별다른 이유 없이 나를 공격하는 악플을 보면서도 멘탈이 흔들리지 않을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악플이 게재된 게시판의 운영 제한조치를 할 수 있는 법률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다.양기대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1월 5일, 댓글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중대한 침해를 받은 경우 그 침해를 받은 자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침해 사실을
악플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연예인이나 정치인 등 유명인들만의 문제일 것 같지만, 사회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은 사람들도 악플로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지난 2월 7일 방송된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따르면 2019년에 악성 댓글로 재판을 받은 판결문 242건을 모두 분석한 결과 일반인 피해자가 80%에 달했다고 한다. 악플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피해자들은 어떻게 대응할까. 최근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교 활동을 벌였다는 의혹이 제기된 사회탐구영역 스타강사 이지영 씨는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해명 글에서, 다른 학원의 유명 강사로부터 심각한 악플 공격에 시달렸다고 털어놓았다.그녀는 지난 2월 10일 ‘이지영’ 블로그에 “[천효재단 피드백] 안녕하세요. 이지영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근거 없는 모함과 거짓말, 조롱과 욕설, 입에 담을 수 없는 원색적 비난이 있었으며 그 뒤에는 경쟁사의 대형 강사를 무너뜨리기 위한 인강 업계 관행인 여론 조작과 논란 부추기기, 수험 업계의 더러운 댓글 알바 공격이 있었습니다.“라고 폭로했다. 그로 인해 “심각한 우울증, 식이장애, 체중 감소, 불면증 등의 건강상의 문제”를 겪기 시작했고
온라인에서 명예훼손 등 권리침해를 당한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해당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제44조의2에 규정돼 있다. 이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정보를 삭제해야 하는데, 권리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거나 이해당사자 간에 다툼이 예상되면 30일 이내의임시조치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임시조치는 어떻게 하라는 것인지, 30일 이내의 임시조치 기간 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등에 대해서는 정보통신망법에 아무런 규정이 없다. 그래서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및 주요 포털사이트에서는 복원 제도를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즉, 임시조치 기간 중 게시자가 복원 신청을 하면 임시조치 기간 경과 후 해당 게시물은 다시 공개적으로 게시된다. 이 경우에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결과 또는 법원의 판결문 등을 제시하지 않는 한 임시조치나 삭제가 되지 않는다. 만약 임시조치 기간 중 복원 신청이 없었다면 임시조치 기간 경과 후 해당 게시물은 삭제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 문제점이 많다. 첫째, 정보통신망법에 임시조치의 개념이 규정돼 있지 않다. 임시조치에 대해서는 정보통신망법 제2조 용